알고리즘

문제 5988번: 홀수일까 짝수일까 (acmicpc.net) 5988번: 홀수일까 짝수일까 짝이 없는 경재는 매일 홀로 있다보니 홀수를 판별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겼다. 창식이는 경재의 말이 사실인지 그 능력을 시험해보려 한다. 창식이의 의심이 끝이 없을 것 같아 N개만 확인하기 www.acmicpc.net 풀이 대충 보면 그냥 2로 나눈 나머지 값을 비교하는 문제인 것 같지만, 주어지는 수의 범위가 10^60으로 매우 큰 수입니다. 이는 C언어 계열에서 가장 큰 자료형인 unsigned long long보다도 한참 더 큰 수이므로 자료형으로는 해결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숫자를 문자열 형식으로 받고, 배열의 맨 마지막 값이 2로 나누어 떨어지는지 판별하였습니다. #include using namespac..
문제 26766번: Serca (acmicpc.net) 26766번: Serca Informatycy to też ludzie, więc jak wszyscy potrzebują trochę miłości. Bajtek właśnie postanowił wyznać miłość pięknej Bajtolinie i w tym celu zamierza narysować jej N serduszek w ASCII art złożonych ze znaków małpy (@). Jedno serduszko www.acmicpc.net 풀이 문제에 주어진 하트 모양을 N번 반복해서 출력하는 문제입니다. 하트 문자열을 만들어 주고, N을 입력받은 뒤, for문을 통해 N번만큼 출력하는 과정을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
문제 1789번: 수들의 합 (acmicpc.net) 1789번: 수들의 합 첫째 줄에 자연수 S(1 ≤ S ≤ 4,294,967,295)가 주어진다. www.acmicpc.net 풀이 접근 방식 생각이 잘 안 나서 초반에 애를 먹은 문제입니다.. S의 크기가 4,294,967,295이므로 int의 최대 범위를 넘어갑니다. 그러므로 long long으로 선언하였습니다. 이어서 1씩 변화하는 값인 num과 N이 선언됩니다. sum은 숫자들의 합이 S를 넘나 넘지 않나 확인하는 변수입니다. 문제에서 N의 최댓값을 물어보았습니다. 최댓값이 되려면 조금이라도 더 많이 더하는 쪽이 유리하기 때문에 1부터 하나씩 더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어느 시점에서 S보다 합(sum)이 더 커진다면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i..
문제 26711번: A+B (acmicpc.net) 26711번: A+B Mamy dla was zadanie stare jak świat, ale w nieco odświeżonej wersji. Polega ono na dodaniu do siebie dwóch liczb, które tym razem mogą być dość duże. Gdyby tylko na Potyczkach Algorytmicznych było jakieś narzędzie, które pomaga radzić sobie www.acmicpc.net 풀이 숫자 두개를 입력 받고, 이를 더한 값을 출력하는 문제입니다. 오랜만에 나온 A+B 문제내요. A = int(input()) B = int(input()) print(A +..
그린스크린
'알고리즘'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