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

∈ 가 있으면? 원소를 가리키는 문제 ⊂ 가 있으면? 집합을 가리키는 문제 집합 A = { ø, { ø } } 에 대하여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1. ø ∈ A 집합 A에 ø가 원소로 있기 때문에 맞다. 2. ø ⊂ A ※ 중요: 공집합은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이기 때문에 맞다. 3. { ø } ∈ A 집합 A에 { ø }가 원소로 있기 때문에 맞다. 4. { ø } ⊂ A 집합 A에 { ø }를 때어내어 부분집합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맞다. 5. { { ø } } ∈ A 이런 원소는 집합 A에 없다. 그러므로 5번이 옳지 않다.
집합이란? 판단기준이 명확한 모임. 집합을 구성하는 각각의 것을 원소라고 부릅니다. 때로는 원소가 집합이 될 수도 있습니다. (원소) ∈ (집합) 1) 조건제시법 원소들의 공통된 성질을 설명하는 방법 2) 원소나열법 원소를 일일이 나열하는 방법. 조건제시법을 원소나열법으로 나열하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예) 1. 8 이하의 자연수의 집합 A A = { x | x는 8 이하의 자연수 } A = { 1, 2, 3, 4, 5, 6, 7, 8 } n(A) = 8 (원소의 개수) 2. 20 이하의 4의 배수의 집합 B B = { x | x는 20 이하의 4의 배수 } B = { 4, 8, 12, 16, 20 } n(B) = 5 (원소의 개수) 집합 A에는 1, 2, 3, 4, 5가 있는데 만약 집합 B에도 1, ..